재테크
공무원 연금 수령액 계산법 쉽게 알려드려요
myjh20
2025. 4. 10. 22:22
반응형
안녕하세요 :)
현실적인 돈 이야기를 쉽게 풀어주는 자유오리입니다.
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‘공무원 연금, 도대체 얼마나 받을까?’에 대해
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📌 공무원연금,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공무원연금은
✅ 재직기간이 10년 이상
✅ 퇴직 연령 도달 후
지급이 시작돼요.
즉, 10년 이상 근무한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대상이 되는 거죠!
🧮 연금 수령액 계산법
핵심 공식은 아래와 같아요:
평균기준소득월액 × 재직기간 × 연금지급률
✔ 평균기준소득월액: 최근 3년간 평균 보수
✔ 재직기간: 연금 대상 근속연수
✔ 연금지급률: 기본적으로 1.7% (※ 점차 축소 중)
✨ 예시로 계산해볼게요
📌 30년 근무 + 평균 보수 350만 원인 경우
👉 350만 × 30년 × 1.7% = 1,785,000원/월
하지만!
2016년 연금개정 이후부터는 단계적으로 연금이 줄어들고 있어서
실제 수령액은 약 150~160만 원대가 될 수 있어요.
⏰ 퇴직 연도에 따라 연금은 달라집니다
퇴직 연도수령액 특징
2015년 이전 | 연금지급률 1.9% → 수령액 높음 |
2016~2035년 | 5년마다 0.025%씩 감액 중 |
2036년 이후 | 연금지급률 1.7% → 1.35%로 축소 예정 |
즉, 퇴직 시점에 따라 연금 액수가 큰 차이가 생길 수 있어요!
💬 자주 묻는 질문
Q. 공무원 연금 + 국민연금 중복 가능할까요?
👉 경우에 따라 일부 가능. 단, 소득이 있는 경우 연금 삭감 가능성 있음!
Q. 유족 연금도 있나요?
👉 네! 배우자나 자녀에게 일부 지급되는 유족연금 제도도 있습니다.
📝 마무리 한줄 정리
📌 공무원연금 수령액은 평균 보수 × 재직기간 × 1.7%
단, 퇴직연도에 따라 액수는 달라집니다!
여러분은 예상 연금 수령액이 얼마쯤 나오시나요?
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
👇 댓글로 남겨주세요! 친절히 답변 드릴게요 :)
반응형